일상&리뷰

영화 우리도 사랑일까, Take This Waltz(2011)



아이를 낳고 살다보니 결혼전에 보러 다니던 영화나 연극 등 문화생활을 즐길 기회가 많이 없는 것 같아요. 그래도 꼭 보고 싶은 영화가 생기면 메모해 두었다가 언젠가는 보겠지하고 챙겨보는 편인데, 오늘 리뷰를 쓸 '우리도 사랑일까'도 그런 영화 중에 하나였어요. 그런데 이 영화도 본지 몇년 된 것 같네요. ㅎㅎ 갑자기 블로그에 쓸 좋은 영화가 뭐가 있을까 했는데 가장 먼저 떠오른 영화가 바로 우리도 사랑일까네요. 좋아하는 배우 중 하나인 미셸 윌리엄스가 나온다고 해서 더 기대하기도 했고 제목도 뭔가 기대하게 만드는 영화였던 것 같아요. 2011년도 작품이니 정말 내가 언제 봤을까 싶네요. 그래도 기억에 남는 영화 중 하나입니다.





미셸 윌리엄스를 처음 알게 된 영화가 바로 이 영화인데요. 이 영화를 보고 다른 작품들도 찾아봤었는데 가장 보고 싶었던 '마릴린 먼로와 함께한 일주일'이란 영화를 아직 보지 못했네요. 이 영화도 나의 영화리스트에 넣어놔야겠어요. 미셸 윌리엄스는 1980년 9월 9일 미국 몬타나에서 태어났네요. 필모그래피를 찾아보니 내가 봤던 영화들도 꽤 있었던 걸 보니 내가 미셸 윌리엄스를 알게 된 첫영화는 아니었네요. 그렇지만 가장 눈에 띄고 이 배우가 누구인지 찾아보게 한 작품이 바로 '우리도 사랑일까'였던 것 같아요.





우리도 사랑일까는 미셸 윌리엄스와 세스 로건이 주연을 맡았고 사라 폴리가 감독을 맡은 영화입니다. 줄거리를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혼 5년차인 프리랜서 작가 마고(미셸 윌리엄스)는 다정하고 유머러스한 남편 루(세스 로건)와 함께 행복한 결혼생활을 누리고 있었습니다. 어느날, 일을 위해 떠난 여행길에서 우연히 대니얼(루크 거비)를 알게 되고 처음 만난 순간부터 두 사람은 서로에게 강한 끌림을 느끼게 됩니다. 그런데 대니얼이 바로 앞집에 산다는 것을 알게 되고 자신도 모르게 점점 커져만 가는 마음과 남편에 대한 사랑 사이에서 갈등하는 그녀의 모습이 그려지는데요. 사랑하지만 더이상 두근거림은 없는 결혼생활을 보내고 있는 결혼 5년차 여성이 느끼는 공허함과 새로운 사랑에 대한 설렘을 다룬 영화인 '우리도 사랑일까'는 해외 언론과 평단에서도 극찬을 받은 작품이라고 합니다. 





미셸 윌리엄스는 이안 감독의 브로크백 마운틴에서 남편(히스 레저)의 아내 역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는데요. 이후에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셔터 아일랜드, 블루 발렌타인 등에 출연하면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습니다. 마릴린 먼로와 함께한 일주일에서는 전설적인 여배우인 마릴린 먼로를 완벽하게 재연했다고 하는데요. 체중을 늘리고 억양, 걸음걸이, 습관 등을 익혀서 마치 마릴린 먼로가 환생한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환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고 합니다. 이 작품으로 미셸 윌리엄스는 골든글로브와 미국 전역의 비평가 협회에서 9개의 여우주연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에도 노미네이트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도 사랑일까에서는 결혼한 여성이 느낄 수 있는 권태감과 막연한 불안감 등을 잘 표현해서 연기함과 동시에 아찔한 사랑에 빠져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여성의 심리를 탁월한 연기력으로 표현했다는 평을 듣고 있습니다. 이 작품으로 밴쿠버비평가협회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고 하네요. 또 해외 평단으로부터 "어린아이 같은 생동감과 어른스러운 체념을 오가는 캐릭터를 미셸 윌리엄스보다 더 잘 연기할 수 있는 배우는 없다" "미셸 윌리엄스와 세스로건은 생애 최고의 연기를 보여준다" "미셸 윌리엄스는 그녀가 맡은 캐릭터와 혼연일체가 되었다" "미셸 윌리엄스의 빼어난 연기력은 관객으로 하여금 사랑에 관해 즐겁고도 진지한 통찰을 하게 만든다" 등의 극찬을 받았다고 합니다. 





영화 우리도 사랑일까는 미셸 윌리엄스의 뛰어난 연기력도 한몫하지만 아름다운 영상과 색감, 감수성을 자극하는 팝의 명곡들도 만날 수 있어서 더 좋았는데요. 후덥지근한 여름날 부엌에서 머핀을 굽고 있는 마고의 모습으로 시작되는 이 영화는 첫 장면부터 아름다운 색채들의 조화와 함께 캐나다 루이스버그와 토론토의 아름다운 풍경들이 먼저 우리의 눈을 사로잡는데요. 감독의 고향인 토론토의 무더운 여름, 매일 거닐던 도로, 나무가 줄지어 있는 길, 시내를 오가는 인력거의 해변 등에서 받았던 영감을 영화에 담아내고 싶었다고 합니다. 또 이 영화의 제목으로 쓰인 'Take this waltz'는 캐나다 출신 가수 레너드 코헨의 노래에서 따왔다고 하는데요. 스페인 시인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시 '조그만 빈 왈츠'에 곡을 붙인 이 노래에서 영감을 얻어 시나리오를 집필하는 동안 끊임없이 이 음악을 들었다고 하네요.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깊기도 했고 예쁜 장면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바로 인력거를 끌고 있는 대니얼과 뒤에 타고있던 마고가 서로 거울을 통해서 눈을 마주치는 장면이었는데요. 영화를 본지 오래됐지만 잊혀지지 않는 장면인 것 같아요.






새 것도 결국 헌 것이 돼. 헌 것도 처음에는 새 것이었지. 


이 영화의 명대사 중 가장 와닿는 말인 것 같아요. 또 이 영화를 보고 나서 느끼게 되는 생각인 것 같기도 하구요. 사람은 누구나 익숙한 것보다는 새로운 것에 더 갈망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걸 쫓는 사람도 있고 부질없는 걸 알고 그만두기도 하게 되는 것 같은데요. 이 영화를 보면서 마고처럼 새로운 것을 향해 떠나보면 어떨까 생각해보기도 하고 그 끝을 봤을때의 허무함도 있지만 안도감도 한편으로는 들구요. 나라면 어땠을까, 나라면 다르지 않았을까 하며 이런 저런 생각을 많이 했던 것 같아요. ㅎㅎ 오랜만에 리뷰를 쓰다보니 다시 한번 보고 싶어지는 영화네요. 




,

최근 댓글

최근 트랙백

알림

이 블로그는 구글에서 제공한 크롬에 최적화 되어있고,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링크

카운터

Today :
Yesterday :
Total :